하반신 마비 환자나 장애인이 누군가의 도움 없이 이동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전기 자극을 이용해 스스로 다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장치를 개발했는데, 레깅스처럼 종일 입어도 편한 재질이기 때문에 보조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박나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임훈섭 /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연구원 : 크게 다치지 않았을 거라 생각을 했는데 눈뜨고 보니까 병원 중환자실이더라고요. 병원 교수님께서 못 걷는다고 얘기를 하시더라고요.] <br /> <br />3년 전 일어난 교통사고로 임훈섭 씨는 하지 완전마비 장애를 얻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좌절도 잠시, 지금 그는 재활로봇 기술을 겨루는 세계 대회의 자전거 종목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을 차지한 주인공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재활로봇자전거 종목은 하반신을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 혼자서 1,960m 트랙을 완주하는 경기입니다. <br /> <br />연세대학교 신동준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AI 로봇자전거는 모터와 같은 외부 동력 없이 장애인의 근육만으로도 주행할 수 있는데, 이번 대회를 승리로 이끈 동력은 바로 이 레깅스 속 장치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레깅스 안쪽을 살펴보니 전기 자극 패드가 내장돼있는데요. 이 패드가 다리 근육을 자극하면, 다리가 스스로 움직이게 됩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AI 기술을 이용해 어떤 부위를 자극할 때 최고의 효과가 나오는지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바탕으로 근육이 수축하는 신호를 만들어, 장애인의 손상된 운동신경을 대체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드러운 레깅스 재질로 만들어져 오랜 시간 입고 있어도 편한 데다가, 재활 기능도 우수합니다. <br /> <br />[신동준 /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: 전반적으로 근육량도 굉장히 늘어나고 따라서 생체리듬도 굉장히 좋아지고. 여러 가지 좋은 재활의 효과들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개발한 기술을 하체뿐 아니라 상체를 활용한 일상 활동에도 확장해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대상을 장애인에 국한하지 않고, 근력 보조가 필요한 노약자와 이동이 불편한 일반인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사이언스 박나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취재: 김영환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나연 (p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111002134480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